국어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추론, 비판, 창의적 읽기가 필요한 문항을 출제하였습니다. 시, 동화, 옛이야기, 극 등 문학 장르를 고르게 다루었고, 과학,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비문학 등에서 변별력 있는 문항을 출제하였습니다.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한 국어 능력을 점검하는 것을 넘어 낯설고 다양한 글의 이해와 그 글과 관련된 문제 해결 상황에서의 국어 능력을 평가하여 보다 타당한 국어 능력 수준을 점검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영어
듣기, 말하기 문제의 경우 3~4학년군은 낱말, 어구 및 간단한 문장 위주로 출제하였으며, 5~6학년군은 4문장 수준의 대화문도 포함시켰습니다. 읽기, 쓰기 문제의 경우, 3~4학년군은 알파벳을 포함하여 주로 낱말 및 어구를 다루었지만, 5~6학년군은 어법 문제를 비롯하여 비교적 긴 글과 다소 복잡한 도표도 포함시켰습니다.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취 기준을 최대한 지키면서 출제하였으나 각 학년별로 난이도 있는 문제를 일부 출제하여 변별력을 주고있습니다.
수학
수학과는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여 주변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며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과입니다. 초등학교 수학의 내용 영역은 ʻ수와 연산ʼ, ʻ도형ʼ, ʻ측정ʼ, ʻ규칙성ʼ, ʻ자료와 가능성(확률과 통계)ʼ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행동 영역은 ʻ계산력ʼ, ʻ이해력ʼ, ʻ추론능력ʼ, ʻ문제해결력ʼ,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학의 내용 영역 및 행동 영역을 두루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여, 1번부터 20번까지는 학교 교육과정 수준의 기초적인 개념과 원리의 이해 및 단순한 적용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21번부터 30번까지는 개념과 원리를 응용하거나 교과 내적, 외적 융합형 문제를 출제하여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수능형 문항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사회
초등학교에서의 사회과 학습은 학생들이 다양한 사회의 모습을 보고 비판적이고 합리적으로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초적인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키워주는 데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본 평가에서도 다양한 자료들 속에서 올바르게 사회를 인식하는 역량에 대해 평가하고자 합니다.
과학
초등 과학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 일생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 평가에서는 과학의 기본 개념 및 이를 이해할 수 있는 탐구능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출제는 기초적 과학지식을 다양한 문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적용, 재구성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과학의 기초탐구능력을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이 과학의 기초적인 탐구 과정과 방법을 이해하고 꼬마 과학자로서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자합니다.